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c#
- 센티넬
- AirComic
- XBOX360
- replication
- High Availability
- .NET
- DotNetOpenAuth
- 네아로
- Gears of War
- DSM6
- gitlab
- 커버구루
- TeamCity
- 기어스 오브 워
- Cover Guru
- sentinel
- 개발
- haproxy
- Keepalived
- redis
- ASP.NET
- ipod
- NoSQL
- iPod Touch
- 닷넷
- 복제
- 고가용성
- 레디스
- mmbot
- Today
- Total
목록c# (2)
Once in a Lifetime
얼마전 포스트에서 소개했던 슬랙봇이 있었는데, 제한 사항이 생각보다 꽤 많아서 다른 소스를 찾다가 Slack 공홈에 소개되어있는 mmbot 이라는 봇을 사용해서 몇가지 스크립트를 작성한 후기를 포스팅 해본다. mmbot 스타터 가이드는 GitHub 에 잘 나와있으니 참고하면 될 것 같고, 슬랙봇으로 구현하고자했던 것은 각 서버의 헬스 체크파워쉘 스크립트를 통한 스위치 및 IIS 컨트롤였는데, mmbot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했다. mmbot은 nuget 패키지를 참조 할수있도록 모듈형태로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고파워쉘 스크립트 역시 간단하게 처리 할 수있는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으며Scheduler까지 등록할 수 있는 CSX 샘플도 기본 제공하고 있어서 스크립트 작성이 간편하다. 게다가 Hubot의..
가장 최근에 작업했던 프로젝트에서 FTP(원격지) 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파일을 다운로드해야 할 일이 있어서 구글링해서 건진 정보. Windows Networking (WNET) 이라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관련 API 를 사용하면 손쉽게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접속해서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. 서버의 공유폴더에 액세스해서 작업하는 API로, 본 포스트에서는 WNetUseConnection 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. 두둥~ Step I :: NETRESOURCE Structure 먼저 NETRESOURCE 라는 구조체를 선언한다. [StructLayout(LayoutKind.Sequential, CharSet=CharSet.Auto)] public struct NETRESOURCE { publ..